이번 달 Wired에 실린 구글의 검색 품질에 관한 기사입니다. 수많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구글의 검색 품질은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군요.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 역량은 유연성이라고 지적합니다. 경쟁사에서 새로운 기술을 선보여도 구글은 곧 이를 자사의 검색 알고리즘에 통합시킬 수 있을 테니까요. 저자는 이렇게 결론짓고 있습니다.
Still, even if there is such a shift, Google’s algorithms will probably be able to incorporate that, too. That’s why Google is such a fearsome competitor; it has built a machine nimble enough to absorb almost any approach that threatens it — all while returning high-quality results that its competitors can’t match.
물론 이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수백개의 속성(feature)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검색 알고리즘을 잘못 고쳤다가는 그동안 쌓아올린 향상이 모두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죠. 말하자면 검색은 균형의 예술(balancing act)인 것입니다. 구글의 검색 책임자인 Amit Sighal의 말을 들어봅시다.
Throughout its history, Google has devised ways of adding more signals, all without disrupting its users’ core experience. Every couple of years there’s a major change in the system — sort of equivalent to a new version of Windows — that’s a big deal in Mountain View but not discussed publicly. “Our job is to basically change the engines on a plane that is flying at 1,000 kilometers an hour, 30,000 feet above Earth,” Singhal says.
운항중인 항공기의 엔진을 고치는 일이라 -- 실감나는 비유입니다. 그리고 이정도 규모와 복잡성을 지닌 시스템을 튜닝하는 것은 과학에 가깝습니다. 더이상 '감'에 의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잘 아는 구글은 입력되는 모든 쿼리를 하나 이상의 실험을 위해 활용한다고 합니다.
 Every time engineers want to test a tweak, they run the new algorithm on a tiny percentage of random users, letting the rest of the site’s searchers serve as a massive control group. There are so many changes to measure that Google has discarded the traditional scientific nostrum that only one experiment should be conducted at a time. “On most Google queries, you’re actually in multipl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s simultaneously,” says search quality engineer Patrick Riley.
인터넷 검색과 같은 Winner-takes-all Market에서 독보적인 1위를 추격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이처럼 선두가 방심하고 있지 않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흔히 구글 검색의 품질은 PageRank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진짜 경쟁력은 끊임없이 바뀌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 인프라와 노하우일 것입니다.

또한, 이 기사는 지난 10년간 구글이 선보인 검색 기술상의 혁신과 구글 검색이 경쟁사에 비해 나은 점을 구체적인 질의(query)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컨데, 구글은 'new york', 'new york times', 'new york times square'가 모두 다른 대상을 가리키는 질의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기사를 좀더 읽어보시면, 구글 역시 문서보다는 사용자의 질의를 좀더 잘 이해하는 쪽에 연구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전에 이곳에 올린 검색 연구의 흐름에 관한 글과 비교해 보시면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