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로그(Query Log)로 할 수 있는 것
웹의 발전은 정보검색(IR)이라는 분야를 도서관학의 일개 전공분야에서 최신 기술과 막대한 인력, 자원이 투입되는 거대 산업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지금도 대부분의 사람에게 웹 검색은 일상사가 되었지만, 앞으로도 위키/블로그와 같은 데이터 생산 및 공유 기술의 개발, 그리고 그에 따른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 웹 검색의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규모도 규모지만, 웹은 IR 연구자들에게 항상 새로운 과제를 제시합니다. 홈페이지 검색, 뉴스 검색, Q&A 검색, 블로그 검색 등은 웹이 없었다면 생기지도 않았을 IR의 세부 연구주제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웹 서비스는 고유의 검색 문제를 안고 태어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제만 준다면 조금 얄미울텐데, 다행히 대부분은 해결의 실마리도 따라옵니다. 웹 문서의 링크 구조를 활용하는 PageRank 알고리즘, 검색에 활용되기 시작한 태그 데이터 등이 그 사례입니다.
하지만 웹의 발전이 IR연구자에게 주는 가장 귀한 선물은 역시 검색 로그(query log)가 아닐까 합니다.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속하여 어떤 질의어를 입력하는지, 그리고 어떤 문서를 클릭하는지를 그대로 기록한 검색 로그에는 연구자들이 궁금해하는 검색의 비밀이 고스란히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더 좋은 것은 이런 데이터를 거의 무제한으로 비용 없이 얻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문제는 검색 업체가 아닌 이상은 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인데, 최근에 MSR에서 검색 로그 데이터를 선별된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워크샵을 제안했습니다. MSN의 검색 로그 1500만건이 클릭 데이터와 같이 제공된다고 하니 흔치않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검색 로그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가장 단순하게는 질의어 통계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네이버나 다음에서 보여주는 ‘인기 검색어’등이 그 예입니다. 또한, 사용자 활동이 세션(접속→종료)별로 기록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용자가 먼저 입력한 질의어를 가지고 다음 질의어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질의어 맞춤법 교정(query correction)이나 관련 검색어 제안 등이 이러한 사례입니다. 이를 좀더 확장하면 사용자의 검색 실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해줄 수도 있습니다.
올해 SIGIR에서 화제가 되었듯이, 질의어를 분류하고 군집화하여 적절한 처리를 하는 데에도 검색 로그는 필수적입니다. 트렉 등에서 제공하는 수십 수백건의 질의어를 갖고 의미있는 질의어 모델을 만드는 것은 상식적으로 불가능하겠죠. 또한 연구용 컬렉션(문서-질의어 모음)은 실제 검색 서비스에서 나온 데이터가 아니라는 한계도 있습니다.
각 검색에에 대해 클릭된 문서가 질의어에 관련하여 옳은(relevant) 문서라고 간주하면, 대용량 검색 로그를 가지고 검색 모델(retrieval model) 자체를 학습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실제 검색 로그는 검색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선하는 데 기반이 되며, 검색 모델 학습(Learning to rank)이 웹 검색의 폭발적 확산과 함께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목록에 있는 모든 문서를 검토하고 클릭을 하는 것은 아니며, 원래 검색 의도와 다른 클릭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검색 로그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이즈 제거 기법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검색 로그 분석에는 대용량 데이터가 사용되기 떄문에 MapReduce 등의 대용량 병렬 처리 환경이 필요합니다. 저는 최근에 연구실에 있는 검색 로그를 학교의 Hadoop Cluster에서 분석하고 있는데, Pig라는 환경이 MapReduce를 데이터베이스(RDBMS)처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줍니다. 좀더 익숙해지면 이곳을 통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검색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재 : 정보 검색 (IR) 연구의 최신 동향 (2) | 2010.02.02 |
---|---|
새로운 알고리즘의 성능이 훌륭한가? - 유의성 테스트 (0) | 2008.11.03 |
불확실성을 평가한다 --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0) | 200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