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1년 반만에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유학 초기에 서슬퍼런 각오를 다지던 기억이 엇그제같은데,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짓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스스로의 모습이 아직 낯설었습니다. 유학 초기에 대학원과 미국 생활에 동시에 적응해 나가는 하루하루가 도전이었는데, 이제는 미국에서 연구자로서의 삶이 공기를 들여마시는 것처럼 편안해졌습니다. 처음에는 해수면에서 8000미터의 Death Zone으로 갑자기 올라간 느낌이었는데, 5년간 Sherpa의 심장을 얻었나 봅니다.


Journey is the reward라는 잡스의 말을 신봉하는 편이지만, 최근 문득 유학생활 동안 얻은 것과 잃은 것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경력상으로는 원하는 것을 얻었을지 몰라도, 그 과정에서 스스로에게나 주변사람에게나 많은 것을 '강요'해오지 않았나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익숙한 환경을 떠나 낯선 곳에서 시작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그동안 저를 있게해준 대부분의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야 했습니다. 결과에 관계없이, 만약 그 과정에서 상처가 있었다면 어떤 식으로든 치유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는 여행을 통해 20년간 나를 지배해온 관습을 버리려고 했다.

출근하기 위해 아침에 하는 면도. 평일 대낮의 자유를 비정상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에 대한 공표.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서 느끼는 심리적 압박. 월급에 대한 안심. 인생에 대한 유한 책임.

20년만에 주어진 한달 반의 여행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구본형, '떠남과 만남' 초판 서문

그래서 계획한 한국행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여행에 영감을 준 것은 예전에 읽었던 구본형씨의 '떠남과 만남'이라는 책, 특히 글머리에 인용한 서문이었습니다. 20년간 다니던 직장에 사표를 내고, 발길 닿는대로 남도를 유랑한 그의 여정이 저의 나침반이 되었습니다. 5년간의 대학원 생활, 그리고 앞으로 몇년이 될지도 모르는 미국 생활 사이에 분명한 선을 긋자고 마음먹었습니다. 한달의 시간을 통째로 버리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아니기에, 스스로에 대한 몇가지 목표를 세웠습니다. 


강요없는 자기통제

그동안 저의 행복도에 대한 Self-tracking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발견한 패턴이 한가지 있습니다. 외적인 강제가 있는 상황이나 (평일 오전, 시험, 면접, 교수님과의 미팅) 환경에서의 (학회장, 연구실)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높았다는 것입니다. 외적 제약이 스스로의 통제력을 높이고, 이런 모습이 자존감과 만족도를 높인 반면에, 외적 제약이 사라진 상태에서 자기통제가 느슨해지면서 만족스러운 시간을 보내지 못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꾸준히 공부하기 위해 잡지 기고를 요청했다는 안철수씨의 말처럼 외적 제약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스스로를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끄집어낼 수 없다면 슬픈 일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한달간은 스스로 되도록 아무것도 강요하지 않으면서 자기통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해 볼 생각입니다. 외적인 제약을 매개로 의지를 끌어내기보다는 내면의 에너지를 활활 타오르게 하여 자신을 움직이겠다는 것입니다. 스스로에게 완전한 자유를 허용하되, 그 결과에 만족할 수 있는 순간순간을 보내고 싶기 때문입니다. 긴 휴가를 보내보신 분이라면 알겠지만, 자유시간을 만족스럽게 보내는 것은 긴장과 이완의 완급조절을 필요로 하기에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살아가기 위해 어떤 구속도 필요치 아니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꼭 갖추어야 할 덕목일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자기 냄새 (스타일)

시오노 나나미의 남자론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한눈에 풍겨나오는 여유와 자신만의 아우라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은 대단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이런 삶의 태도의 완성은 순간순간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야 하는 유학생 처지에서는 사치이기도 합니다. 유학 초기에 결과보다는 과정에 충실한 생활을 뜻했지만 학생이라는 신분과 앞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이루지 못했던 목표입니다. 


줄서지 않는 삶이라는 삶의 원칙을 일찌기 세웠기에, 굵직굵직한 선택에서나 소소한 일상에서나 '자기 냄새'를 피우기 위해 좀더 노력해 볼 생각입니다. 이는 눈앞의 작은 이득이나 다수에 묻어가는 선택의 안정감을 포기하는 노력을 수반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포기한 이득과 안정감은 그 이상의 성취감과 '매순간 깨어있는 느낌'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또한 안철수씨나 잡스의 말대로 삶의 목적이 Make a dent in the universe하는 것이라면, 이는 분명 선택할 부분은 아닙니다. 

 

주변을 돌아보는 여유

스스로의 공부를 위해 주변의 모든 사람들을 뒤로해야 하기에, 유학은 본질적으로 자기중심적인 선택입니다. 젊은 날, 자기 자신에게서 최대치를 끄집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분명 아름다운 일이지만, 그런 노력이 주변 사람들의 허무감까지 보상해주지는 못합니다. 스스로 원하는 것을 이루더라도, 그 결과가 자신에게만 머문다면 그 얼마나 허무한 일인가요. 그리고 그런 성취가 얼마나 지속가능한 것일까요.


논의를 확장하면, 저는 사람이 가진 것은 모두 누군가에게서 받은 것이라는 말이 진리를 담고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돈 1원이 나보다 다른 사람에게 더 큰 가치를 가져다준다면 이를 베풀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스스로의 마음에 여유가 없을때 이런 믿음을 실천하기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매달 생계유지비를 받는 학생에서 직장인이 된 이 시점이 '여유와 베품'라는 화두를 다시 마음에 새길때가 아닌가 합니다. 


평생 기억될 한달을 위해

서두에서 유학생활을 고산 등반에 비유했지만, 어떤 의미에서 작은 산봉우리에 올라서 구름겉힌 주변 풍광들 둘러보는 느낌입니다. 조만간 하산하여 또다른 봉우리로 향할 자신을 알기에, 지금 잠깐의 휴식이 더욱 달콤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위 세가지가 측정이 용이한 목표는 아니지만, 한달 뒤 스스로를 돌이켜 보았을 때, 내 안에 무언가가 변했다는 느낌이 찾아오기를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