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클래스의 비밀: 단순 반복이 아닌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
"For the superior performer the goal isn't just repeating the same thing again and again but achieving higher levels of control over every aspect of their performance. That's why they don't find practice boring. Each practice session they are working on doing something better than they did the last time."
Great performers never allow themselves to reach the automatic, arrested development stage in their chosen field. The essence of practice, which is constantly trying to do the things one cannot do comfortably, makes automatic behavior impossible.
Constantly trying to extend one's abilities requires amassing additional knowledge, and staying at it for years develops the critical connections that organize all that knowledge and make it useful.
즉, 끊임없이 능력을 개발하면서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정상급 성과를 내는데 필수적인 지적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입니다.
Deliberate Practice & Knowledge Worker
위에서 설명하는 주도면밀한 연습의 개념을 들으며 운동선수나 음악가 등의 훈련을 떠올리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저는 얼핏 정확한 계량화가 어려워 보이는 일반 업무에도 이런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즉, 1) 자신의 핵심 업무를 그 구성요소로 나누고, 2) 각 구성요소별 평가 및 연습방법을 고안하고, 3) 취약점을 중심으로 꾸준히 연습하고, 4) 적절한 피드백을 받으며 이를 계속한다면, 주도적인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대학원생인 저의 주된 업무라고 할 '연구'를 예로 들어봅시다. 연구의 구성요소는 다음 몇가지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흥미있있고 해결가능한(tractable) 문제를 찾고
- 관련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여
- 기존에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해결책을 고안하고
-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한 후
- 출판 / 발표 등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한다
- 스스로에게 벅찬 양을 정해놓고 꾸준히 읽는다.
- 논문당 시간을 정해놓고 읽는다.
- 여러 기준으로 논문을 평가해보고, 주변 사람들과 비교해본다.
- 리뷰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논문)
- How To Be an Expert
- Six Keys to Being Excellent at Anything
- The Science of Expertise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대한 인물의 조건 -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서 배운다 (4) | 2011.02.28 |
---|---|
컨퍼런스에서 발휘된 iPad의 진가 (3) | 2010.11.08 |
유학생의 뒤늦은 iPad 사용기 (2) | 201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