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들의 여가중 흔한 것이 한국 TV 시청입니다. 평소 TV를 자주 보는 편은 아니었지만 최근에 방영한 '나는 가수다' 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단순 오락 프로그램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지만, 이 프로그램의 의의, 그리고 이로 인한 논란의 파장은 작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여기서는 '나가수'의 긍정적인 측면을 생각해 보려 합니다.

기득권에 대한 정면 도전

본 프로그램의 방송 초기부터 포멧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진중권씨 같은 분은 프로그램 자체가 넌센스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평균 경력 10년의 정상급 가수들 중에 우열을 가린다는 아이디어 자체가 황당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프로그램의 의의를 높게 평가합니다. 실력보다 자격을 우선시하는 우리나라의 풍조에 도전한다는 측면을 주목하기 때문입니다.

올해가 데뷔 20주년이라는 김건모를 비롯해 첫 출연자 7명은 모두 자타가 공인하는 정상급 가수이고, 이런 의미에서 소위 말하는 '기득권층'의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가수들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오히려 새로운 도전에 응한 용기를 높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고인 물은 썩게 마련이고 엄밀한 평가시스템 없이 보장된 지위는 조만간 내실을 잃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첫번째 탈락자로 논란의 초점이 되었던 김건모의 재도전에 관련된 다음 기사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노래도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김건모의 이 떨리는 손에서 진심이 느껴졌다고 평했다. "천하의 김건모가 마이크 잡은 손을 그렇게 떨다니..", "20년차 가수가 그렇게 손을 부르르르 떠는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 "손이 떨리는 압박과 긴장속에서도 음이 나가지 않고 제대로 무대를 마친 것에 박수를 보낸다", "손 떠는 것에서 비장함이 느껴졌다" 등의 반응이 줄을 이었다.  

김건모는 인터뷰를 통해 "'나는 가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라며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됐다. 나를 관리하게 됐고 다시 새로운 발을 내 딛는 계기가 됐다. 이 프로그램은 나를 출발선에 똑바로 설 수 있게 만들어줬다"고 말했다.

언제나 당당하고 여유롭고 위풍당당했던 20년차 가수 김건모의 떨리는 손은 이 프로그램의 핵심일지도 모른다. 자칫 오만해진 마음을 버릴 수 있었던 기회. 광풍같은 비난 속에 어렵게 얻은 기회를 최고의 노래로 보답해 준 김건모는 가수다.
'나가수'는 이처럼 대중음악계의 기득권층의 정점을 구성하는 7인의 가수에게 대중의 평가라는 (완벽하지는 않을지라도) 정직한 잣대를 들이댔습니다. 그리하여 그들 스스로도 놀랄 정도의 최고의 역량을 끌어내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대중들에게는 많은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타국에서 '좋은 음악'에 항상 굶주려있는 저같은 사람에게도 정말 오랜만에 맛보는 청량제였습니다. 결국 프로그램 자체도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출연 가수들도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미국에 와서 많이 느끼는 점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참 '기득권'이 많습니다. 한번 얻기는 쉽지 않지만 (그리고 그 과정에서는 비교적 공정한 잣대가 적용되지만) 일단 획득 후에는 안심할 수 있는 그런 자격 말입니다. 명문대 입학, 온갖 종류의 고시, 임용 후에는 별 실적없이도 자리를 보전할 수 있는 일부 직장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됩니다. 여기서는 '자격' 자체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한번 OO는 영원한 OO식으로, 자격의 획득 이후에 전혀 평가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성역화'를 우려하는 것입니다. 절대 권력은 결국 부패하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약속 이행' 대한 주의 환기

'나가수'가 우리사회에 던진 또하나의 화두는 '원칙의 가치' 입니다. 오락 프로에서의 '원칙'이 갖는 무게에 대한 다양한 논란이 있었지만, 저는 '김건모 재도전'의 혼란이 수습되는 과정이 우리나라에 '사회적 약속의 이행'라는 도덕규범이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에 와서야 비로소 느낀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모든 종류의 규칙 위반에 대해 상당히 관대한 편입니다.  좋게 보면 '정'의 문화이지만, 소속 조직의 비리를 고발하다 되려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많고, 교통 범칙금 같은 경우에도 잘 이야기하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지켜야 할 것'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반면에 미국이라는 나라는 어떤 규칙도 예외없이 적용하는 비정함에 정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

'나가수'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중간에 몇번이나 강조했던 규칙을 처음부터 어겼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었습니다. 퇴출 대상이 '최고참' 김건모가 아니었더라도 그런 사태가 벌어졌을지 상상해보면, (1회에서 7위를 한 정엽에 대한 동료 가수들의 반응을 떠올려봅시다) 원칙에 대한 경시, 그리고 그릇된 연공서열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쩄든 많은 국민들이 이에 들고 일어났고, 결국 프로그램 결방 및 가수의 자진 사퇴라는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심지어 오락 프로그램에서도)  '사회적 약속'을 중히 여기고 실천하는 문화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희망해 봅니다. 

마치며

 위에서 언급한 우리 사회의 두가지 병폐 '기득권의 성역화' 및 '사회적 약속 경시'는 과정은 다르지만 결과는 같습니다. 정직하고 성실하게 노력하는 사람들의 힘을 빼앗고, 기득권이나 요령에 기대어 이득을 보려는 사람들이 활개치게 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병폐의 지속이 사회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입니다. 성격은 조금 다르지만, 안철수 교수님이 말하는 기득권의 과보호 역시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가수'가 가요계에 일으킨 신선한 바람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시각을 다룬 컬럼을 소개하면서, 마지막으로 몇 가지 생각거리를 던져 봅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답글로 남겨주세요!

-. 구성원간의 경쟁은 어떨 때 사회 발전에 도움을 줄까요? '나가수'는 어떤가요? 
 
-. 사회 다른 분야에서 건전한 경쟁을 통해 좀더 발전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까요?

-. (마무리는 가볍게^^) 여러분은 어떤 가수가 좋으셨나요? 앞으로 더 보고 싶은 가수는? 
어느 연구분야에서나 사고의 틀을 잡기 위해 기초적으로 읽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해당 분야를 몇년간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레 알게 되는 내용이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으로서 자료의 옥석을 가리기는 쉽지 않는 일입니다. 본 블로그에도 검색에 관련된 자료를 모은 페이지가 있습니다. 그동안 자주 업데이트하지 못하었지만, 최근에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하었습니다.

Textbook
Articles
Recommended Reading for IR Research Students 
  : 2005년까지의 대표적인 검색 논문을 추천

Meeting of the MINDS: An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Agenda 
  : 2007년에 세계적 전문가들이 모여 앞으로의 IR 연구 추세를 전망

On the history of evaluation in IR 
  : 검색 품질 평가에 대한 대가의 역사적 기술 


Blog
The Noisy Channel : IR / HCI
FXPAL Blog : IR / HCI
Geeking with Greg
 : IR / ML

Conference
SIGIR : 학계 중심의 탑 컨퍼런스
WWW : 업계 중심의 탑 컨퍼런스
CIKM :  검색과 데이터베이스를 접목한 논문들

텍스트북이야 많이들 아시겠지만 최근에 두권이 더 출간되었습니다. 위에 소개한 수업자료와 Article도 한번씩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위에 소개한 UMass수업은 제가 TA및 수업 하나를 담당했습니다!) 위에 소개한 블로그 역시 웬만한 책 몇권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요 학회 논문 모음과, ETC 카테고리에 비디오 및 다른 곳에 소개된 검색 관련 자료모음을 소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업데이트하고, 제 트위터 등으로 공지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블로그의 검색공부하기 카테고리의 글도 참고하세요. 기타 여러분께서 알고계시는 좋은 자료가 있으시다면 comment로 공유해주세요 ;)
블로그 개편 관련 포스팅을 한 후 하루만에 스무 분께서 설문에 응해주셨습니다. 설문에 응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설문 결과를 및 개편 내용을 소개하겠습니다. 

설문 결과

우선 포스팅 주제 측면에서는 본 블로그의 주된 내용인 검색 연구에 관한 내용이 가장 큰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계학습 및 통계 등 검색의 기본이 되는 분야에 대한 소개를 원하시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다수는 아니었지만, 검색 사용자 / 퍼블리셔 관점의 주제인 검색 노하우나 SEO에 대한 관심도 어느 정도는 나타났습니다.



블로깅 방식에 대해서는 더 꾸준한 포스팅을 바라시는 분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좀더 쉬운 포스팅을 주문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앞으로 이런 점을 고려하도록 하겠습니다.



개편 내용

이상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블로그 개편을 단행하였습니다. 우선 '검색'이라는 테마에 좀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제목을 바꾸었습니다. 

 
다소 산만하던 분류체계 역시 한 단계로 단순하게 바꾸었습니다. 카테고리 역시 '검색'이라는 테마에 집중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타 초기화면의 불필요한 요소를 빼고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초기화면에서 제 트윗과 최근에 관심있게 읽은 블로그 포스팅 목록도 보실 수 있습니다. 


맺음말 : '소통'을 위한 블로그로

하루라는 짧은 시간인데도 많은 분들께서 격려말씀을 남겨주신 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포스팅은 가끔 했지만, 블로깅의 본질이 '소통'에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나 합니다. 앞으로 '검색'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국내외 많은 분들과 소통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며칠 후에 졸업 논문 Proposal 심사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졸업논문에 대한 계획을 심사받는 자리인데, 졸업 1년 전쯤에 하는것이 보통입니다.  그동안 주로 다루었던 분야인 XML 문서의 검색, 개인정보검색의 평가 모델 등에 대한 Proposal을 썼으니, 졸업 논문의 틀은 잡힌 샘입니다. 

졸업 이후의 진로도 연구를 할 수 있는 회사를 가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동안 학교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학문적 접근 방법을 배울 수 있었지만, 검색 연구의 중심이 산업계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고, 개인적으로도 데이터와 실험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기업의 연구조직에 끌리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올 여름은 Microsoft Research CLUES(Context, Learning, and User Experience for Search) 그룹에서 사용자 모델링 및 검색 개인화 관련 프로젝트를 하기로 했습니다. CLUES는 Susan Dumais를 필두로 IR과 HCI, 그리고 기계학습을 넘나드는 연구를 하는 그룹입니다.

블로깅에 대한 단상

이렇게 미래에 대한 큰 틀을 짜고 나서, 그동안 틈틈히 했던 블로그 활동을 돌아보게 됩니다. 사실 '본업'을 연구로 하다보니, 블로그에는 큰 노력을 기울이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글은 종종 썼었지만 빈도나 소재 면에서 꾸준하지는 못했었고, 글을 매개로 한 소통에도 소극적이었습니다. 블로그를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독자분들과 많은 의견을 나누고픈 마음입니다. 

블로그의 테마 역시 고민한 부분입니다. 그동안 주로 연구와 기술동향에 관한 글을 썼는데, 대부분의 경우 기술 동향쪽의 글이 더 많은 관심을 끄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블로그라는 공간을 통해 설명하기 쉽지 않은 순수 연구적인 주제보다는, 검색엔진이 만들어내는 생태계를 좀더 거시적으로 다루어보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여기서 생태계라 함은, 검색엔진과 함께 검색 사용자(searcher)와 컨텐츠 제공자(publisher)를 아우르는 큰 틀을 말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검색 생태계를 이루는 세 축과 이에 관련된 이슈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원 안에 있는 세가지 주제는 검색엔진이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검색엔진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개인화(personalization)에 힘쓰고, 퍼블리셔에 대해서는 스팸 퇴치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와 퍼블리셔를 연결하는 것이 웹 광고의 핵심입니다.

원 밖의 주제는 검색 사용자 및 퍼블리셔가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우선 검색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검색의 방법(Search Skill)이라는 주제가 있습니다. 주변에서 검색을 특히 잘 하는 사람을 볼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또한, 컨텐츠 퍼블리셔 입장에서는 웹 로그의 분석(Web Analytics)과 아울러 검색엔진 랭킹 높이기(Search Engine Optimization)가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렇게 검색엔진을 문서 랭킹을 넘어선 '웹 생태계'라는 관점에서 보면 재미있는 주제가 많습니다. 그리고 위 그림에서 검색엔진이 담당하는 부분인 검색 개인화 / 웹 스팸 퇴치 / 검색 광고는 각각 매우 각광받는 연구주제입니다. 검색 광고 및 SEO는 제 전문분야는 아니지만, 검색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해 볼 생각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블로그에 구글 광고를 달았습니다 ;)

블로깅 계획 & 독자 Survey
 
앞으로는 이렇게 좀더 폭넓은 주제에 걸쳐 블로깅을 해볼 생각입니다. 또한 방법 측면에서도 정보 전달 위주에서, 독자들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해볼 생각입니다.  이런 차원에서 간단한 독자 Survey를 준비했습니다. 익명이며 단지 질문 3개에만 답해주시면 되니, 꼭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독자 Survey 바로가기 : http://goo.gl/MblQD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개편 : LiFiDeA의 검색 이야기  (0) 2011.03.17
2011년 새해인사  (2) 2011.01.04
2010년을 돌아보며 - 블로깅  (1) 2010.12.30
일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어떤 분야건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10,000 시간(혹은 10년) 정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결과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하지만, 10년의 노력을 기울이고도 정상에 오르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과연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얼마전에 읽은 'Talent is Overrated'라는 책 (번역서 : 재능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의 저자 제프 콜빈은 정상에 오른 사람들이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한다는 면에서 일반인들과 구별된다고 주장합니다.

Deliberate Practice

이 책의 핵심 개념은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입니다. 저자는 보통 연습과 주도면밀한 연습의 차이를 1) 적절한 난이도를 가진다 2) 취약한 부분에 집중된다 3) 견디기 힘들 정도까지 반복된다 4)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등으로 설명합니다. 즉, 다음 글에서 묘사하듯이 자신이 약한 부분을 찾고, 이를 적절한 피드백을 받으면서 힘겨울 정도까지 반복하며 보완해나가는 과정이 주도면밀한 연습입니다. 
"For the superior performer the goal isn't just repeating the same thing again and again but achieving higher levels of control over every aspect of their performance. That's why they don't find practice boring. Each practice session they are working on doing something better than they did the last time."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편안한 일을 익숙한 방식으로 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처럼 자신이 취약한 부분을 한계치까지 계속 반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저자는 특히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제대로 된 피드백이 없는 연습은 '무릎까지 오는 커튼을 쳐놓고 볼링을 치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장기간의 연습 끝에 찾아오기 마련인 타성도 극복해야 할 대상입니다. 이에 대한 저자의 설명을 들어봅시다.
Great performers never allow themselves to reach the automatic, arrested development stage in their chosen field. The essence of practice, which is constantly trying to do the things one cannot do comfortably, makes automatic behavior impossible.
주도면밀한 연습은 이처럼 Comfort Zone에 머무르려는 인간의 본성에 반하며, 의지만으로 가능한 일도 아닙니다. (예컨데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피드백은 전문가를 항상 곁에 둘수있는 극히 제한된 사람에게만 허락되는 기회입니다.) 이렇게 보면 어느 분야건 정상에 도달하는 사람들의 수가 극히 적은 것도 이해가 갑니다. 

Why Does It Work?

저자는 장기간에 걸처 주도면밀한 연습을 반복할 경우, 상황의 미묘한 차이를 분간해내는 지각 능력이 생기고,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이 쌓이면서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고 기억하는 능력도 향상된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살아있는 지식'이 쌓이는 과정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묘사합니다. 

Constantly trying to extend one's abilities requires amassing additional knowledge, and staying at it for years develops the critical connections that organize all that knowledge and make it useful.

즉, 끊임없이 능력을 개발하면서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정상급 성과를 내는데 필수적인 지적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입니다. 


Deliberate Practice & Knowledge Worker


위에서 설명하는 주도면밀한 연습의 개념을 들으며 운동선수나 음악가 등의 훈련을 떠올리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저는 얼핏 정확한 계량화가 어려워 보이는 일반 업무에도 이런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즉, 1) 자신의 핵심 업무를 그 구성요소로 나누고, 2) 각 구성요소별 평가 및 연습방법을 고안하고, 3) 취약점을 중심으로 꾸준히 연습하고, 4) 적절한 피드백을 받으며 이를 계속한다면, 주도적인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대학원생인 저의 주된 업무라고 할 '연구'를 예로 들어봅시다. 연구의 구성요소는 다음 몇가지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흥미있있고 해결가능한(tractable) 문제를 찾고
  2. 관련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여
  3. 기존에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해결책을 고안하고
  4.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한 후
  5. 출판 / 발표 등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한다
위에서 소개한 각각의 요소에 실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그 중 2) '지식 습득' 이라는 측면이 스스로 취약하다고 가정해 봅시다. 학문적 지식 습득의 대표적인 형태는 논문을 읽는 것인데, 논문을 읽는다는 행위에 대한 '주도면밀한 연습'을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습니다. 
  • 스스로에게 벅찬 양을 정해놓고 꾸준히 읽는다.
  • 논문당 시간을 정해놓고 읽는다.
  • 여러 기준으로 논문을 평가해보고, 주변 사람들과 비교해본다.
  • 리뷰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위와같이, '논문읽기'라는 단순한 행위에도 주도면밀한 연습의 개념을 도입하면,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논문 하나도 이런 식으로 읽다보면, 힘은 들어도 시간에 따라 발전해가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Epilog

이 책의 저자는 '주도면밀한 연습'이라는 개념을 많은 일화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우리 고전에도 나태함을 경계하고 주변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이며 스스로를 연마해가는 절차탁마의 자세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리는 하나로 통하는가 봅니다. 10년이라면 길게 느껴지지만, 20세에 시작하면 30대에는 정상급 전문가가 될 수 있을테니 해볼만한 일이 아닐까요? 주도면밀한 노력의 단순한 개념에 비해 그 적용은 쉽지 않으니, 다음 논문과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